이번 강좌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UI를 간단하게 살펴보고
프로젝트를 생성해 볼 예정입니다 :)
실행 순서상, 프로젝트를 먼저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켜주세요
설치 후 처음 실행하시는 거라면 로딩이 끝난 뒤에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우린 프로젝트를 생성할 거니까 젤 위에 있는
Start a new Android Studio project
를 클릭해주세요 :P

자,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 봅시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이름과 도메인(패키지명)을 설정해 줍니다.
원래는 PC명.example.com (패키지명은 com.example.PC명.어플이름)이 기본으로 되어있는데,
저는 블로그용으로 따로 만드는 거라서 example을 blog로 변경했어요 :)
만일 앱스토어에 올릴 어플을 만드시는 거라면,
패키지명은 유일해야하므로, 유의해서 만드시길 바래요!
처음엔 그냥 만들었다 해도, 나중에 패키지명은 바꿀 수 있으니 걱정은 노노!

다 하셨다면 시원하게 Next!
이번엔 어플이 돌아갈 디바이스 버전을 선택합니다.
기본적으로 최소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API 15)를 지원하게 설정되어 있어요.
저는 주로 기본 설정을 따라가는 편입니다....허허
우린 아직 심각한 거 안 만들 거니까, 일단 Next :P
액티비티를 생성하는 창입니다.
아예 설정 안하고 셀프로 다 만들어도 되지만....
우린 아직 초보니까....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Blank Activity로 가봅시다!
Next!
자 이제 마지막 단계!
생성한 액티비티의 이름과 레이아웃 이름, 타이틀 등을 설정해주는 창입니다.
맨 처음 Activity Name은 .java파일의 이름을 결정짓는 부분이고,
Layout Name은 .xml파일, 즉 레이아웃 파일의 이름입니다.
Title은 string.xml 파일의 타이틀 이름입니다.
Menu Resource Name은 말 그대로 메뉴 리소스 이름인데, 이 부분은 아직 건드릴 필요가 없으니 그냥 두는걸로 :)
Activity Name과 Title은 그냥 같게 두시면 됩니다.
맨 처음에 액티비티 이름을 변경하시면, 아래 레이아웃 이름과 타이틀 모두 자동으로 바뀝니다!
참 똑똑하죠?
저는 일단 그냥 기본 설정 그대로 Finish!
Finish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면서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됩니다 :)
참 쉽죠?

자 그럼 이제 UI를 간단히 보도록 할까요?
다시 방금 전 프로젝트가 생성된 화면 하단을 보시면,
Design과 Text 탭이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화면은 Design탭이고,
Text탭으로 전환하면,
위와 같이 직접 코딩할 수 있는 Text모드와,
실시간으로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오른쪽에 따로 화면이 나오네요 :)
이클립스에서 매번 왔다갔다하기 너무 불편했는데...ㅠㅠ
정말 감격스러운 기능이 아닌가 싶습니다 ㅠㅠ

자 이번엔 상단 빨간 박스 부분을 보시면,
두 개의 탭이 열려있습니다.
그 중에 왼쪽에 있는 MainActivity.java 탭을 클릭!
그럼 위와 같이 메인 액티비티의 java 파일이 나옵니다.
처음에 레이아웃을 생성해 주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부분은 이미 생성이 되어있네요 :)
굳굳

자 이번엔 화면 왼쪽 부분을 보시면 위와 같이 되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클립스에서는 네비게이터라고 불렸었나요... (기억이...)
윗 부분에 안드로이드라고 써 있는 부분을 클릭하시면 드롭다운 메뉴가 나옵니다.


위와 같은 드롭다운 메뉴에서 프로젝트 / 패키지 / 안드로이드 별로 네비게이터를 변화할 수 있어요 :)
이클립스와 가장 유사하게 나오는 건 프로젝트 입니다.
그래서 저는 주로 프로젝트로 한답니다........
이것저것 써보시면서 편하신 거에 또는 용도에 따라 바꿔 쓰시면 될 것 같아요 :)

요건 패키지!
자 이번엔 정말 화면의 가장 왼쪽에
고개 90도 꺾어서 봐야 할 것같이 생긴 부분을 봐주세요
두 개의 탭이 또 열려있는데, 그 중에 Structure을 눌러줍니다 :)
그럼 위와 같은 화면으로 왼쪽 부분이 바뀌는데요,
이건 지금 메인 액티비티의 구조를 나타내 줍니다.
지금은 Method밖에 없어서 메소드들만 나타나 있지만
인터페이스 등등 여러가지 부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클릭하면 소스에서 그 부분으로 한방에 슝!
소스가 길어졌을 때 메소드 등을 찾을 때 유용합니다

자, 이제 화면 하단부를 살펴보면
일단 발생하는 로그들을 찍어주는 Event Log가 있습니다
위에 bold로 써있는 로그는 unread
아래에 bold해제된 로그는 read
하단에서 Android라고 써있는 탭을 누르면 나타나는 창입니다.
지금은 제가 가상 머신도 안 만들어놨고 기기도 연결을 안 해놨기 때문에 비어있지만,
안드로이드 디바이스를 연결하거나, 가상머신을 돌리면 여기에 로그가 찍히게 됩니다.
DDMS라고 하죠 :)
앞으로 아주 많이 쓰게 될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ㅎㅎ
자, 지금까지 프로젝트도 생성하고, 우리가 앞으로 자주 쓰게 될 UI들을 살펴봤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앞으로 차차 부분부분 설명하도록 할게요 :)
다음 강좌에서는 어플 제작 시작 전에
좀 더 편리한 사용을 위해 몇 가지 설정을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